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정보와 지식의 클라우드/경영과 노무

퇴직소득세란 무엇인가?

by Daily Thanks 2022. 4. 15.
반응형

퇴직소득세란 무엇인가?

근로자가 회사를 퇴직할 때 받는 퇴직금은 세금을 공제하고 받게 되며 이때 공제하는 세금을 퇴직소득세라고 합니다.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액을 계산하고 징수하며 근무했던 회사에서 퇴직 당시에 퇴직 소득세를 원천징수하게 되면 종결됩니다. 단, 퇴직소득세를 원천징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경우 또는 1 과세기간에 2개 이상의 근무 회사에서 퇴직소득을 받을 경우에는 퇴직 소득자가 다음 해 5월에 퇴직소득 과세 표준 확정신고를 해야 해야 합니다.

 

[퇴직소득 범위]

1)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받는 일시금(지연지급 이자 포함)

2) 사용자 부담긍을 기초로 하여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지급받는 소득

3)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받는 일시금을 지급하는 자가 퇴직소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연하여 지급하면서 지연지급에 대한 이자를 함께 지급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이자

4)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퇴직연금 급여를 받는 회원이 지급받는 퇴직 공제금

5)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급받는 퇴직 공제금

6) 종교관련 종사자가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종교단체로부터 지급받는 소득

 

[퇴직소득 수입시기]

- 원칙 : 퇴직한 당일

- 예외 :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급받는 날로 함

국민연금법에 따른 일시금,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륭에 따라 지급받는 퇴직공제금

 

[퇴직소득세의 구조]

1. 퇴직소득금액

                                           ▼

2. 퇴직소득공제

                                           ▼

3. 환산급여 계산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공제 / 근속연수 X 12)

                                           ▼

4. 퇴직소득과세 표준

                                           ▼

5. 퇴직소득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 12 X 근속연수)

                                           ▼

6. 기납부세액

                                           ▼

7. 차감징수세액

 

[퇴직소득세 원천징수 방법]

 

1.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2.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국내에서 퇴직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 의무자는 퇴직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 기 징수 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