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정보와 지식의 클라우드/라이프

유통기한 지난 음식 먹어도 괜찮나?

by Daily Thanks 2022. 6. 12.
반응형

유통기한 지난 음식 먹어도 괜찮나?

일반 마트나 온라인에서 구입한 음식이나 식품 중 유통기한이 지나면 섭취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걱정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유통기한을 산출하는 방법은 식품업체에서 실험을 통해 식품이 정상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을 계산하고 여기에 안전계수(0.7~0.8)를 곱해 유통기한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면 실험을 통해 얻은 유통기한이 100일이라면, 실제 유통기한은 이것보다 짧은 70~80일이 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나도 일정 기간 섭취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식품은 식품 구매 이후에 실제 섭취 가능한 기간은 보관 환경과 식품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얼마든지 유통기한이 지나더라도 섭취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3년부터는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해 유통기한 경과로 인한 식품 폐기물 저감을 위한 정책이 도입되어 식품 폐기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 소비기한 :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

- 유통기한 : 제품이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개정(2021년 8월)으로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게 되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음식 / 한국소비자원 자료 및 뉴욕 포스트 기사 참조]

항목 내용
우유 일부 우유는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1주일까지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일수록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유 냄새를 맡았을 때 시큼한 냄새가 나면 버려야 합니다.
* 0~10 냉장 보관시 최대 +50일까지 섭취 가능
달걀 달걀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달걀의 신선도가 떨어지지만, 먹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달걀을 먹어도 될지 걱정된다면 달걀을 물에 넣어보고 물 위로 뜨면 먹지 말고 버려야 합니다.
* 0~10 냉장 보관시 최대 +25일까지 섭취 가능
파스타 신선한 파스타를 먹을 수 있는 기한은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5일이며 찬장에 보관한 파스타는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2년까지 먹을 수 있습니다. 요리한 파스타를 냉동 보관할 경우에는 최대 8개월 내에서 섭취하면 됩니다.
단단한 치즈 유통기한이 지난 단단한 치즈는 곰팡이가 생기더라도 곰팡이 부위를 긁어내면 섭취가 가능합니다.
* 0~10℃ 냉장 보관시 최대 +70일까지 섭취 가능
소금, 후추, 밀가루, 베이킹소다, 설탕 수분이 부족한 소금, 후추, 밀가루, 베이킹소다, 설탕 등은 유통기한이 지나도 오랫동안 먹을 수 있습니다. 다만, 밀가루나 베이킹소다에서 이상한 냄새가 날 경우에는 해충이 침입했을 가능성이 있어서 폐기해야 합니다.
날고기, 가금류 및 생선 냉동실에 보관한  다진 고기는 최대 4개월, 생선은 최대 9개월까지 보관하고 섭취할 수 있습니다.
포장된 야채, 과일 포장된 야채, 과일은 유통기한이 지나치게 지나지 않았다면 몇 분간 얼음물에 담가두면 먹을 수 있으며 냉동 과일과 채소는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10개월까지 섭취할 수 있습니다.
통조림 식품 일부 통조림 식품은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2년까지 보관할 수 있으며, 스팸과 같은 일부 통조림은 최대 5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토마토, 파인애플 통조림은 산도가 높아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기타 - 크림빵 : (0~10℃) 보관시 +2일
- 냉동만두 : (-15℃ 이하) 보관시 +25일
- 액상커피 : (0~10℃) 보관시 +30일
- 식빵 : (0~10℃) 보관시 +20일
- 생면 : (0~10℃)보관시 +9일
- 생크림 케이크 : (0~10℃) +2일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