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정보와 지식의 클라우드/라이프

노화를 늦추는 확실한 방법-최신 연구 결과

by Daily Thanks 2021. 12. 16.
반응형

노화를 늦추는 확실한 방법-최신 연구 결과

뉴욕타임스(NYT)는 케틀린 카살레토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UCSF) 교수 연구팀이 80세 이상 노인들의 사후 뇌 조직을 분석한 결과, 생전에 활동적이었던 노인들의 뇌 면역 세포들이 그렇지 않았던 노인들보다 활성화 수준이 낮았다고 연구 결과를 보도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저널' 11월호를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가벼운 걷기 운동으로 노화 방지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노년층의 걷기 운동 등 신체활동이 알츠하이머(치매) 위험을 줄여준다는 증거로 걷거나 움직이면 뇌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어떠한 세포작용으로 신경퇴행성 질환이 억제하는지 밝혀진 것입니다.

연구팀은 사망 노인 167명을 대상으로 뇌 속 미세아교세포(다양한 질병이나 증상들로부터 중추신경계를 지키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는 세포) 활성화 비율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사망 당시 평균 90세 였고, 60% 정도는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운동 기간과 운동 강도 등에 대해서는 특정되지는 않았습니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이 많은 노인일수록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수준이 낮았고 심각한 알츠하이머를 앓은 경우에는 염증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뇌에서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는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불필요한 시냅스를 정리하는데, 체계가 파괴되면 과도한 활성화로 뉴런구조를 망가뜨리는 결과를 낳는데 이 경우에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수준을 낮춰야 알츠하이머 악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가벼운 신체활동만으로도 노화 억제

이번 연구를 주도한 카살레토 박사는 "미세아교세포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노인의 알츠하이머로 인한 기억상실을 지연시킬 수 있다"며 "특히 필요한 운동량이 많지 않다는 게 고무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즉, 걷기 운동 등의 가벼운 활동만으로도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를 막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카살레토 박사는 "신체활동만이 미세아교세포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닌듯하다"며 앞으로 운동이 알츠하이머 환자의 미세아교세포에 어떻게 변화를 일으킬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걷기 운동 등의 가벼운 운동만으로도 노화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열쇠입니다. 노인 뿐만 아니라 젊을 때부터 가볍게 운동하는 습관을 기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