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 어떤 형이 좋을까? 비교 분석
보통 아침잠이 많으면 게으르다는 속설이 많았는데 최근 '저녁형 인간'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저녁형 인간은 게으르다'라는 사회적 통념이 깨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아침형 인간'에 비해 더 영리하고 창의적이지만 아침형 생활 리듬에 맞춰진 사회 구조로 인해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영국 런던정경대학교 사토시 가나자와 교수팀은 '왜 저녁형 인간이 더 영리한가?'라는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미국 청소년 2만 745명을 대상으로 수면 패턴과 IQ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는데, 연구 결과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집단의 IQ가 더 높게 나온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것을 '사바나 IQ 상호작용 가설'에 적용해 인간은 낮에는 생활을 위한 일을 하고 밤에는 독창적인 일을 하며 진화했기 때문에 똑똑한 사람일수록 더 늦게까지 깨어있도록 발달했다는 분석을 제시했습니다. 사바나 IQ 상호작용 가설은 인류의 진화에 있어 지능이 높은 개인이 지능이 낮은 개인보다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능숙했기 때문에 지능이 높은 인류가 진화를 이끈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스페인 마드리드대학 심리학과 연구팀도 12~16세의 청소년 88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저녁형이 창의력이 높고 귀납추리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우수하다고 발표했습니다. 귀납추리 능력은 개별 사실에서 보편적 법칙을 추리해내는 능력으로 혁신적인 사고와 고소득 직업군과의 연관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저녁형 인간 중에는 작가, 예술가, 프로그래머 등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직군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학업성적은 아침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학교 수업이 이른 아침에 시작하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네덜란드 레이던대학의 케르크 호프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저녁형은 아침형과 수면 패턴이 반대로 아침형은 초저녁에 깊은 잠을 자고 새벽으로 갈수록 얕은 잠을 자지만 저녁형은 새벽부터 아침까지 깊은 잠을 잡니다. 그렇다 보니 저녁형은 매일 아침 꿀잠을 잘 시간에 잠이 덜 상태에서 등교를 하게 됩니다. 또한 생리학적으로도 저녁형은 아침형보다 잠이 오게 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평균 3시간 느리기 때문에 수면을 시작하는 시간도 늦습니다.
결국에 저녁형은 수명의 질과 충분한 수면시간을 누리지 못하고 학교에 사 수업을 듣고 시험을 보기 때문에 제 실력을 발휘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집중력이 높아지는 시기도 다른데, 아침형은 오전에 집중력이 가장 좋고 오후 6시부터 급격히 주의력이 분산되는 반면, 저녁형은 저녁에 가까워질수록 업무 결과가 더 좋았습니다. 두 유형 모두 오후에는 정신이 맑고 인지능력도 좋았는데 연속적인 흐름을 보면 아침형 인간은 오전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저녁형 인간은 저녁에 가까워질수록 인지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지속된 과제에서도 저녁형은 아침형보다 졸음을 이겨내며 늦은 시간까지 뇌를 활성화해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아침형 중심으로 맞춰진 하루 일과를 1~2시간만 뒤로 미룬다면, 저녁형은 오전부터 늦은 밤까지 높은 집중력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생활패턴을 잘 분석해 조금 더 높은 성과와 건강한 삶을 살아가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세상의 정보와 지식의 클라우드 >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을 만드는 식품 (0) | 2022.03.05 |
---|---|
목표별 걷기와 뛰기 운동 효과 비교 (0) | 2022.03.04 |
잠 잘자는 방법 : 꿀잠 팁 (0) | 2022.03.02 |
영양제 먹는 적절한 시간 (0) | 2022.03.01 |
머리 제대로 감는 방법과 머리 매일 감기 (0) | 2022.02.28 |
댓글